스킵네비게이션

교과과정 DONG-A UNIVERSITY

교과과정

<학점이수에 관한 사항>

  • 석사 과정은 2년(4학기) 이상 등록하여야 하고 수강학점 취득은 전공필수과목 5과목 (산학연현장실습, 산학연융합세미나, 산학연개별연구지도, 퇴행성질병개론, 기초의과학통계)을 포함하여 26학점(논문연구 2학점 포함)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
    전공선택과목은 4개영역들중 3개영역의 선택과목을 최소 1과목이상씩 수강하여야 한다.
    석사과정은 산학연현장실습후 산학연개별연구지도 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산학연융합세미나는 두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 박사 과정은 2년(4학기) 이상 등록하여야 하고 수강 학점 취득은 전공필수과목 6과목 (산학연현장실습, 산학연융합세미나, 분자세포생물학특론, 신약개발개론, 의과학세미나, 논문작성법과 연구윤리)을 포함하여 40학점(논문연구 4학점 포함)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
    전공선택과목은 4개영역의 선택과목을 최소 1과목이상씩 수강하여야 한다.
    박사과정은 산학연융합세미나 네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박사과정 전공필수과목을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경우, 대체과목을 정하여 수강하여야 한다.
    보충과목은 지도교수가 정하며, 학과 책임교수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 석·박사 통합과정은 4년(8학기) 이상 등록하여야 하고 수강 학점 취득은 전공필수과목 9과목 (신약개발개론, 산학연현장실습, 산학연개별연구지도, 퇴행성질병개론, 기초의과학통계, 분자세포생물학특론, 산학연융합세미나, 의과학세미나, 논문작성법과 연구윤리)을 포함하여 66학점(논문 연구 6학점 포함)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
    전공선택과목은 4개영역의 선택과목을 최소 1과목이상씩 수강하여야 한다.
    석·박사 통합과정은 산학연현장실습 두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며, 산학연현장실습후에는 산학연개별연구지도 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산학연융합세미나는 네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공통과목>
1D3026 산학연융합세미나 I (Industry-Academic-Institute Convergence Seminar [2]
1D3027 산학연융합세미나 II (Industry-Academic-Institute Convergence Seminar) [2]
1D3028 산학연융합세미나 III (Industry-Academic-Institute Convergence Seminar) [2]
1D3029 산학연융합세미나 IV (Industry-Academic-Institute Convergence Seminar) [2]
1D3030 산학연현장실습 I (Industry-Academic-Institue Field Training) [2]
1D3031 산학연현장실습 II (Industry-Academic-Institue Field Training)

신약개발 및 진단분야의 국내 선도기업체 및 연구소의 전문가의 초청세미나 및 토론 등을 통하여 신약개발 분야 동향 및 실무정보 습득하고, 퇴행성질병 연구 기법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의과학 연구자로서의 기본 소양을 배양한다.
석사과정은 두 강좌, 박사 및 석·박사통합 과정은 네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방학기간중 일정기간 산학연네트워크의 협약기업체 또는 연구소를 방문하여 실제 신약개발업무를 체험하고 인턴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현장 실무 습득 및 산학연네트워크 개발능력을 배양한다.
석사 및 박사과정은 한 강좌, 석·박사통합 과정은 두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석사과정은 산학현현장실습후 산학연개별연구지도 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2]
1D3032 산학연개별연구지도 (Industry-Academic-Institute Individual Research Development)

산학연현장실습을 통해 매칭된 산업체 전문가와 신약개발 및 실용화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2]
산학연융합세미나V (Industry-Academic-Institute Convergence Seminar V) [2]
산학연융합세미나VI (Industry-Academic-Institute Convergence Seminar VI) [2]
산학연현장실습III (Industry-Academic-Institute Field Training III) [1]
산학연개별연구지도III (Industry-Academic-Institute Individual Research Development III) [1]
<전공과목>


Ⅰ. 신약개발 영역

1D3001 기초의과학통계 (Basic Biostatistics)
의과학의 정량적 연구결과를 기술하고 검정하기 위한 기초적 통계방법을 학습한다. 기술통계, 추정, 검정의 기초적 개념을 설명하고, 흔히 이용하는 분석 방법을 소개하며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3]
1D3035 신약개발개론 (Introduction to Drug Development)
신약개발이 임상에 적용될 때까지 필요한 타겟발굴, 유효물질발굴, 전임상연구, 임상연구 및 사업화의 전주기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작용기전 연구, 약물탐색기법, 동물모델 등을 이용한 비임상시험법, 임상연구 및 사업화를 위한 바이오신약 및 합성신약의 허가과정 등의 교육을 포함한다.
[3]
1D3024 의료인공지능학 (Medical AI)
인공지능의 기계학습 및 딥러닝 분석기법을 이해하고 영상, 텍스트, 시그널 등의 각종 의료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여, 인공지능 기법으로 의료 데이터를 실제로 분석하고 기술적, 임상적으로 유용한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1D3038 퇴행성질병의 중개연구 (Translational Research in Degenerative Diseases)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사회의 도래로 인해 퇴행성 신경질환의 유병률이 갈수록 늘어가고 이에 대한 의학적 대처와 치료법이 절실한 시점이다. 알츠하이머병 및 피킨슨병과 같은 퇴행성뇌질환과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을 포함한 난치성 말초신경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매우 필요하며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강의에서는 다양한 퇴행성 신경질환의 종류, 임상적 특징, 발생 기전 및 각종 진단법과 최신 치료 동향 등을 이해하고, 향후 신약 개발 등을 위한 중개 연구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3]
1D3022 분자 재생의학 (Molecular Regenerative Medicine)
노화, 퇴행성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악성 종양 등의 질환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는 재생의학에서 세포생물학 및 분자유전학에 기초한 연구기법을 소개한다. 줄기세포 기반의 재생의학 및 유전자 치료법의 개요, 연구 기법, 최근 산업기술 동향을 중심으로 강의하며, 기초 의과학연구와 중개임상연구의 융합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 한다.
[3]
1D3044 합성신약 개발특론 (Advanced Development of Synthetic Drugs)
의약품 및 생리활성 화합물들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기본구조들의 합성전략과 실제 신약개발과정에서의 합성응용에 대하여 이해한다.
[2]
1D3043 인공지능기반 신약개발 (Drug Development based on Medical AI)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제약관련 데이터 수집, 플랫폼 구축,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전문기관과의 긴밀한 연구 교류 및 협력 등이 총체적으로 필요하다. 본 교과목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의 실무 경험과 기본 능력을 갖추기 위해 신약개발에 사용되는 최적화 알고리즘의 원리들을 배우고, 협력 회사의 인공지능기반 신약개발 인공지능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며, PBL 기법으로 소규모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3]
1D3050 세포배양공학 (Cell Culture Engineering)
최근 실험동물 대체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인체유래세포를 기반으로 한 3차원 세포배양 기법의 기본적인 개념을 습득하고, 다양한 인공지지체를 이용한 세포배양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의생명과학분야의 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3차원 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생체모사 인공조직의 구체적인 연구 사례를 고찰하고, 관련된 상용화 동향을 소개함으로써 생체재료 및 세포배양 기술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3]

Ⅱ. 질병분자기전 영역
1D3033 퇴행성질병개론 (Introduction to Degenerative Disease)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사회의 도래로 인해 퇴행성 신경질환의 유병률이 갈수록 늘어가고 이에 대한 의학적 대처와 치료법이 절실한 시점이다.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퇴행성질병의 종류와 주요 분자기전 및 치료현황개론을 교육한다.
[3]
1D3034 분자세포생물학특론 (Advanced Molecular Cell Biology)
유전자의 구조, 유전자 발현조절, 세포의 기능 및 구조등을 깊이있게 학습하고, 분자생물학 및 세포생물학 분야의 최신 연구결과 및 연구기법등과 전망을 소개하여 질병 분자기전 연구자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
[3]
1D3039 분자신경생물학특론 (Advanced Molecular and Cellular Neurobiology)
신경계(Nervous system)를 구성하고 있는 신경세포(Neuron)와 신경교세포(Glial cell)의 분자, 세포 생물학적인 작동원리에 대해서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신경계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최신 실험 기법을 통한 뇌신경계 기능 연구방법을 강의한다.
[3]
1D3040 종양 세포생물학특론 (Advanced Tumor Cell Biology)
종양에 대한 개념과 명명법(nomenclature) 그리고 형태적 소견을 바탕으로 molecular carcinogenesis를 구성하는 세포 내의 biological molecules의 category별로 진행할 것이다. Molecular carcinogenesis 인지 후 최신 개념의 tumor microenvironment (TME), immune 등의 종양 주위 인자를 소개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한 표적치료를 포함한 활성화된 biologic cancer therapy를 다루고자 한다.
[3]
1D3041 질병 동물모델 특론 (Advanced Disease Animal Models)
퇴행성질병 연구에 사용되는 다양한 질병 동물모델의 종류와 특성을 소개하고, 병인규명 및 신약개발과정에서 각 동물모델의 이용방법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인간 질환을 연구 모델화하여 그 병리기전을 밝히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의과학자의 핵심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3]
1D3042 분자면역학 특론 (Advanced Molecular Immunology)
생물학 지식이 있는 학생들에게 면역학의 기초 개념을 가르친다. 이 강의는 약학대학 입학생을 대상으로 면역기능에 대하여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면역 분자, 세포 및 조직과 이들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3]
1D3051 인공지능기반 질병모델링 (AI-based disease modeling)
다양한 의료 및 바이오 데이터에 대하여 머신러닝 및 딥러닝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공지능기반의 질병 진단 및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3]

Ⅲ. 연구자질개발 영역
1D3036 의과학세미나 (Biomedical Seminar)
학생주도적으로 연구계획을 작성,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과학적 소통능력 및 비판적 토론능력을 배양한다. 연구주제 창출, 연구방법, 문제점 해결방안등을 직접 공부하고 토론을 통한 새로운 시각을 경험하여 융합적 사고방식을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한다.
[3]
1D3037 논문작성법과 연구윤리 (Advanced Practice in the Research Paper and Research Ethics)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서의 구성법 이해와 문장력 강화를 통해 연구논문 작성능력을 배양한다.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 연구 데이터의 관리 등 바람직한 연구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익히고 연구부정행위를 예방하며 올바른 연구자로서 지녀야 할 윤리를 확립한다.
[3]
1D3045 문제 중심 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퇴행성질병 중개연구 및 병인연구 문제들에 대해 개발한 모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해결법 및 연구설계를 스스로 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3]
1D3046 실험실습 기법 (Experimental Techniques)
중개연구 및 신약개발 현장에서 활용되는 최신연구기법들을 소개하고 실습을 통하여 익혀본다.
[3]
1D3047 바이오 인문학 (Biohuman Science)
과학의 개념들, 사용되는 방법들등 과학에 대한 철학적 토대를 확립하고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 연구 데이터의 관리 등 올바른 연구자로서 지녀야 할 윤리를 확립한다.
[3]
1D3052 인공지능기반 데이터실습 (AI-based data practice)
머신러닝 및 딥러닝의 기술을 사용하여 의료 및 바이오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3]
  의학조직학 (Medical Histology)
중개연구에 있어 분자생물학과 세포생물학의 과학적 결과와 질병의 병리현상을 개체수준에서 확인하고 그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포유동물의 다양한 장기의 조직학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각 장기의 세포와 조직의 광학, 전자현미경 및 면역조직학을 강의하고, 개체수준의 병태생리 이해도를 높이려 한다.

Ⅵ. 사업화/실용화 영역
1D3048 창업강좌 (Principls of Startup Business)
생물의학 예비창업자에게 창업 전 꼭 습득하여야 할 실무적 지식을 가르치고, 창업이란 무엇이며 창업의 필요성과 창업을 위한 제반 환경 분석과 같은 창업에 관한 기본지식과 회사의 설립, 상권 및 유통입지 분석 방법, 사업 계획서 등과 같은 실무적인 지식을 교육한다.
[3]
1D3049 지식재산권과 산업화 (Intellectual property and research development)
지식재산권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바탕으로 연구에서 발생되는 지식재산권의 창출·보호· 활용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전문가 특강과 발표 및 피드백 형태의 교육을 통해 퇴행성질환 및 중개의과학 분야의 새로운 지식재산권 창출 방안 모색과 연구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연구의 프레임전환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3]
<논문연구>
1D3801 석사논문연구(Thesis Research for Master’s Degree) [2]
1D3901 박사논문연구1(Thesis Research for Doctoral Degree 1) [2]
1D3902 박사논문연구2(Thesis Research for Doctoral Degree 2)
석?박사 통합 과정인 경우 석사논문연구와 박사논문연구 1,2를 이수하여야 한다.
[2]